6월 부동산 거래현황
토론토 부동산 협회
Jul 8, 2025 by 박구용
토론토 부동산 협회
Jul 8, 2025 by 박구용
주택 거래량 변화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2.4%감소했고, 지난 달과 비교해서는 8.1% 정도 상승했다.
판매량은 전년 동월에 비해서 소통 상승하였지만 반면에 평균가격은 올해 1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균가격의 감소는 이름 비수기 주택시장의 일반적인 흐름으로 볼 수 있지만, 판래량 증가는 소폭이기는 하지만, 의외의 상승으로 보여지면서 주택시장의 활기에 가능성이 증가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1월: $57,989 하락, 2월: $82,017 상승, 3월:$12,895 상승, 4월: $34,552 상승, 5월: $9,524 상승, 6월: $3,524 감소, 7월:$55,550, 8월: $32,192하락, 9월: $32,866 상승, 10월: $27,924 상승, 11월: $29,165 하락, 12월: $38,864 하락, 1월: $26,191 하락, 2월:$43,553 상승, 3월:$8,707 상승, 4월: $14,209 상승, 5월: $13,416 상승, 6월: $19,188하락)
주택 평균가격 변화량
모든 주택유형과 모든 지역의 평균주택가격과 Home Price Index가 계속해서 하락추세를 보여주었지만, 유독 City of Toronto 지역의 콘도유형만 큰 폭으로 상승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계속해서 가장 침체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주택시장의 하락세를 이끌었던 콘도유형이 주택시장의 비수기인 여름시장에 그것도 평균가격과 Home Price Index가 모두 상승했다는 것은 City of Toronto를 중심으로한 콘도매물들이 저렴하고 괜찮은 매물들을 중심으로 나름 경쟁이 붙어서 판매되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부동산 신규 매물량 변화
지난 달까지 상승세였던 신규매물과 재고재물의 증가추세가 소폭이기는 하지만, 감소추세로 전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까지 여전이 시장에 재고매물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주택시장의 비수기인 여름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증가세가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판매량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택시장에 바닥을 찍고 활기를 찾아가는 듯한 기대감을 느끼게 하고 있다.
매물로 나온 주택의 시장 체류기간
2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광역토론토 매물 수를 증명하듯이, 계절적인 흐름과 완전히 상반된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는 매물량 증가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적어도 6월까지는 신규매물과 재고매물의 증가량이 감소하는 것이 전통적인 계절적인 흐름인데, 이미 이른 봄이 4월달 부터 신규매물과 재고매물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주택시장은 지난 6월에 판매량과 거래가격이 급증한 토론토 다운타운 콘도 거래처럼, 우선 저렴하고, 위치가 좋은 매물들을 중심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름 비수기에 접어들기 이전에 관망하고 있던 수요가 어느정도 움직였다고 생각된다.
지역별 SNLR 변화량 추세
위에서 언급한 반짝하고 증가한 판매량과 콘도가격의 급등과 같은 변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SNLR 변화량은 여전히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콘도시장에서 미세한 변화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체시장의 흐름을 바꾸기에는 아직 미미해 보시고,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