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부동산 거래현황
토론토 부동산 협회
Mar 09, 2025 by 박구용
주택 거래량 변화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27.4%감소했고, 지난 달과 비교해서는 4% 정도 상승했다.
지난 1월 겨울 시작의 바닥을 찍고, 2월에 접어들면서 확연히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년과 재작년의 봄 시장을 알리는 증가와 비슷한 수준의 평균주택가격 상승 모양세를 보이고 있는데, 대신 판매량은 상승하고 있기는 하지만, 과거 동월에 비교하면 그 상승폭이 굉장히 느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택평균가격은 지난 10월 이후 계속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작년 12월에 비해서 $26,191 하락하였다. 다만 아래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매년 1월이 가장 낮은 평균가격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2월 부터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1월: $57,989 하락, 2월: $82,017 상승, 3월:$12,895 상승, 4월: $34,552 상승, 5월: $9,524 상승, 6월: $3,524 감소, 7월:$55,550, 8월: $32,192하락, 9월: $32,866 상승, 10월: $27,924 상승, 11월: $29,165 하락, 12월: $38,864 하락, 1월: $26,191 하락, 2월:$43,553 상승 )
주택 평균가격 변화량
905지역이 하락을 주도했다면, 416지역에서는 모두 큰 폭으로 주택평균가격이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다 못해, 계속해서 바닥을 치고 있는 콘도유형에서 조차 416지역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택가격의 상승은 실제로 현장에서도 많이 목격되었는데, 모든 유형에서 특히 416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모습은, 지금까지 관망하고 있던 바이어들 중에 상당수가 본격적으로 거래에 참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외곽지역은 이전 달과 비교할때 모두 하락세로 전환되었는데,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다음 달 쯤에는 풍선효과로 하향곡선이 상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여기에 Home Price Index 또한 Halton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우상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확인했던 416지역에서 콘도 평균가격도 상승했던 모습과는 달리 모든 지역에서 실제콘도 가격은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신규 매물량 변화
작년 동월에 비하면 신규매물이 겨우 5.4% 상승하는데 그쳤다.
신규매물과 재고매물은 지난 9월 이후로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상태였는데, 이번 1월에 접어들면서 급격하게 상승했다. 하지만, 2월에 접어들면서는 재고매물은 시속해서 상승하고 있는데 신규매물은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지난 2월의 거래현황에서 확인된 평균주택가격 상승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요를 볼때, 이와 같은 신규매물의 감소는 주택시장의 상승국면에 씨앗이 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아도 재고매물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매물이 부족해서 시장에 재고매물이 쌓이고 있었는데, 이런 상황에서 신규매물의 증가가 감소한다는 의미는 바이어가 살 만한 주택이 부족해지고 있음을 뜻한다.
특히, 이와 같은 신규매물의 감소는 다른 말로 셀러가 더 나은 시간을 기다리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매물로 나온 주택의 시장 체류기간
최근 5년 중에서 두번째로 높은 체류시간을 보여주었던 지난 1월 이후로, 큰 폭으로 체류시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도 주택이 판매되기까지 평균 43일이라는 오랜시간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증가하고 있는 재고의 상승추세를 고려해 본다면,
역시 봄시장임을 실감하게 된다.
지역별 SNLR 변화량 추세
작년 가을에 접어들면서 살짝 상승하던 SNLR 수치가 다시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봄시장과 지금까지의 흐름상으로는 소폭이라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정상인데, 정상범위에서 살짝 벗어나는 모양세가 확인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SNLR의 추세의 이면에는 계속해서 쌓이고 있는 재고량 속에서 팔려나아가는 매물과 시장에서 계속 정체되고 있는 매물들의 간격이 굉장히 크다는 점이 숨겨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어떤 주택이냐, 어떤 지역이냐에 따라서, 아래의 지속해서 하락하는 SNLR 추세선이 그대로 적용되기도 하고, 정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거래들도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