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마지막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July 28, 2025 by 박구용
부동산/모기지 소식
July 28, 2025 by 박구용
🏡[7월 마지막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최근 캐나다 부동산협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평균주택가격은 Ontatio와 BC 주를 중심으로 계속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다른 주들(퀘벡, 노바스코샤, 서스캐처원, 뉴펀들랜드, 매니토바, 뉴브런즈윅 등 6개 주)에서는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니깐 Ontario와 BC 주 같은 고가 시장에서는 조정이 이어지면 소폭 하락한 반면, 상대적으로 저가인 주들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캐나다 전국적으로는 일종의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모양세입니다.
너무 비싸진 Ontario와 BC 주를 떠나 이주하는 사람들도 이런 상황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습이구요.
하지만, 광역토론토 안에서는 또 다른 모습이 엿보입니다.
광역토론의 재고량은 주택은 4.6개월로 균형시장(4-6개월)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콘도는 7개월로 매수자보다 매물이 많은 과잉공급상태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매물이 많다고는 하지만, 이건 콘도유형에 국한된 것으로,
관리비를 내지 않는 똘똘한 주택을 중심으로는 계속해서 수요가 있는 모습입니다.
반면, 럭셔리 주택은 활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3M 이상 럭셔리 주택 거래는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고,
$5M 이상은 58.5%, $7.5M 이상은 41% 상승하면서 확실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너무 비싼 집값에 떠나고 있는 사람들,
그럼에도 광역토론토에 남아서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하는 사람들,
크게 떨어질 고가주택을 과거에 비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사려는 사람들까지…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무더위와 맞물려 더욱 씁쓸한 모양세입니다.
무엇보다 건강한 한주 되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캐나다부동산 #광역토론토부동산 #부동산양극화 #GTA주택시장 #콘도공급과잉 #럭셔리주택 #이주트렌드 #부동산시장분석 #부동산리포트 #토론토주택시장 #주택가격동향 #GTA이슈
캐나다 부동산 가격, 대부분의 주에서 사상 최고치 경신
https://betterdwelling.com/canadian-real-estate-prices-hit-new-record-highs-in-most-provinces/
최근 CREA(캐나다 부동산 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 평균 주택가격(HPI 기준)**은 2025년 6월 기준으로 **Ontario와 British Columbia(BC)**를 중심으로 하락했지만, **대부분의 다른 주들에서는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퀘벡, 노바스코샤, 서스캐처원, 뉴펀들랜드, 매니토바, 뉴브런즈윅 등 6개 주에서는 5월 기준 평균·기준 주택가격 모두 신규 ‘역대 최고’ 경신 기록을 세움
반면 온타리오와 BC는 여전히 연간 기준으로 전년 대비 가격이 하락한 유일한 주로 나타났고, PEI 역시 평균 가격이 월간 기준으로 감소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보면, 평균가격은 약간의 월간 상승세 (1~1.7% 수준)이 유지되었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1.1%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약간 조정된 분위기입니다
매도‑신규매물 비율(SNLR) 은 47% 수준으로 ‘균형 시장’에 가까운 상태이며, 높은 수요 대비 신규 공급이 적절하게 맞춰지고 있는 중입니다
CREA의 최신 2025 연간 및 2026 전망에 따르면, Ontario 및 BC 는 가격과 거래량 모두 소폭 하락 전망, 반면 다른 주들은 4∼8% 수준의 가격 상승 예상되고 있습니다. 2026년 전국 평균가격은 +3% 상승 전망입니다
=>>> "대부분의 주에서는 2025년 봄 기준으로 평균·기준 주택 가격이 역대 최고치" 를 기록했으나, 온타리오 및 BC 같은 고가 시장에서는 조정이 이어지며 전국 평균은 소폭 하락한 상태입니다. 향후 전망은 주마다 큰 차이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저가인 주들은 상승세가 이어지는 반면 주요 고가 시장은 안정화 또는 소폭 조정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온타리오 모기지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
온타리오주의 90일 이상 모기지 연체율은 **2025년 1분기 기준 0.24%**로, 전년 대비 71.5% 상승하며 역대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Q4 2024 기준으로 온타리오에서 11,000건 이상의 모기지 연체가 발생했으며, 이는 2022년 대비 약 세 배 수준, 팬데믹 전 대비 50%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높은 리뉴얼 충격(payment shock) 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코로나 시기 낮은 금리로 고정했던 대출이 올해 재갱신되면서 월불입금이 크게 오른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 중입니다
"장기적인 침체": GTA 신규 주택 판매량 전년 대비 80% 감소
https://storeys.com/gta-new-home-sales-down-80/
2025년 6월, GTA(Greater Toronto Area) 신규 주택 매매는 총 51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 최근 10년 평균 대비 **–82%**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6월 평균 약 2,801건의 5분의 1 수준이며, 신규주택 시장의 장기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단독·세미·연립주택(단독형 주택군) 판매는 293건으로, 전년 대비 –53%, 10년 평균 대비 –62%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BILD와 Altus Group은 “GTA 신규주택 시장의 가장 치명적인 침체”, **“40년 만의 최악의 부진”**이라면서, 고비용 건축 구조(cost-to-build crisis), 금리 부담, 경제·무역 불확실성 등이 수요를 억제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BILD 측은 연속된 주요 도시의 개발비용 인하, GST/HST 면세 등 정부 정책 개입이 시급하다고 촉구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향후 주택 공급 부족과 건설업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합니다.
지금 시장: 더 많은 주택, 더 적은 구매자: GTA 주택, 새로운 시험에 직면하다
GTA 6월 주택 판매량은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 유지
반면, 분리형(Detached) 주택 재고는 14,000건 이상으로, 2023년 6월 수준(6,519건)의 2배 이상, 10년 평균 대비 +65% 달성 — 2008년 이후 최고치
콘도 재고도 지난해 대비 두 배 증가하여 10,000건 이상, 시즌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사상 최대 수준
주택 가격은 전년 대비 약 5% 하락,
평균 가격: $1,303,089 (–6% YoY)
중간 가격: $1,130,000 (–6% YoY)
콘도 가격도 하락: 평균 $712,548 (–5%), 중간 $630,000 (–6%)
주택 MOI: 약 4.6개월로 균형시장 범위(4–6개월) 내에 위치
콘도 MOI: 약 7개월, 매수자보다 매물이 많은 과잉공급 상태
제시가 대비 오버비딩 비율은 주택 29%, 콘도 17%로 낮아짐
지난 10년간 캘거리 부동산이 변화한 5가지 방법
https://www.zoocasa.com/blog/calgary-real-estate-2015-to-2025/
2015년 유가 급락으로 석유 산업 관련 고임금 일자리 급감, 이에 따른 인구 유출과 수요 감소로 가격 하락 및 거래 위축 ▶ 이 시기부터 2021년까지 침체 국면 지속
2022~2024년 사이 인구 유입 급증과 함께 주택 거래는 146% 증가, 특히 GTA 출신 이주자 유입으로 수요 확대
전 파종의 주택 평균가격도 약 9~12% 상승, 특히 콘도는 수요 부족으로 공급 부족 상태 유지
🧾 2025년 6월 기준 (WOWA, RE/MAX 등)
단독주택 평균: $819,909 (–1.1% YoY)
세미디탯치드: $701,429 (+5.4%)
타운하우스: $466,316 (–2.6%)
콘도 평균: $351,769 (–1.6%)
거래건수는 전년 대비 약 –16% 감소 (2,286건), SNLR은 54%로 ‘균형시장’ 영역
재고는 전년 대비 83% 증가, 공급 과잉 경향 있음
저가 구간(Detached ~$700K 미만 / Condo ~$350K)에서는 여전히 빠른 거래, 고가 구간은 재고 늘며 거래 장기화 전망. 2025년엔 전반적으로 매수자 우위 시장 예상
2015~2021년: 유가 충격과 경기침체로 부진
2022~2024년: 인구 유입 + 수요 증가로 빠른 회복 및 가격 상승
2025년 상반기: 성장세 둔화, 공급 증가, 가격 지지력 약화
계속되는 역풍에도 불구하고 주택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TD의 Sondhi
TD 경제학자 Rishi Sondhi는 캐나다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큰 도전 요인(무역 긴장, 금리 불확실성 등)에 직면해 있지만, **각종 변수에서 ‘녹색 신호’**도 일부 관측된다고 평가했습니다
2025년 봄 이후 주택 매매는 개선 조짐: 5월에 4% 상승, 6월에는 3% 증가하며 반등 흐름이 나타남
다만 이는 팬데믹 정점 수준보다는 낮고, BC주와 온타리오주에서는 매도자보다 매물이 많아 가격 압력을 받고 있으며,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입니다
GTA 콘도 시장은 특히 불안정: 2023년 고점 대비 15~20% 추가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며, 투자 수요 감소와 경제 불확실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캐나다은행이 2025년 상반기에 25bp씩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며, TD는 추가 인하도 예상합니다. 금리 인하가 완화 효과를 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2026년에는 판매량과 가격 모두 회복세가 기대되지만, BC와 온타리오 같은 주요 시장에서는 높은 가격과 낮은 구매력으로 인해 가격 반등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됩니다
Toronto Luxury Market is Booming, and Higher Borrowing Costs Offset Lower Home Prices
토론토 럭셔리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높은 대출 비용이 주택 가격 하락을 상쇄하고 있습니다.
https://wahi.com/ca/en/learning-centre/real-estate-101/buy/wahi-top-real-estate-stories-122/
2024년 4분기 GTA의 $3M 이상 럭셔리 주택 거래는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
$5M 이상은 58.5%, $7.5M 이상은 41% 상승하며 고가 시장이 활성화되었습니다
2024년 전체 기준으로도, $3M 이상 매매는 1,513건으로 전년 대비 4% 증가, $5M 이상은 21%, $7.5M 이상 18% 상승 등 고가 시장 성장세가 분명했습니다
특히 $10M 이상 초고가 매매는 매년 증가하거나 유지되며, 소수의 극초고가 수요층이 꾸준히 활동 중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은 상황이 주택 매매에 제약을 넣지만, 럭셔리 시장에서는 HNW 구매자들이 자본 여력으로 이를 상쇄하며 구매에 나서고 있습니다.
고가 수요층은 자체 자금 중심이 많아 금리 변화에 민감성이 상대적으로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