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첫째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Nov 3, 2025 by 박구용
부동산/모기지 소식
Nov 3, 2025 by 박구용
🏡[11월 첫째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콘도 구입 전에 알아야 할 여섯 가지
https://www.deeded.ca/blog/six-things-you-need-to-know-before-buying-a-condo
관리비 과소 산정에 주의하라
개발업자가 초기 관리비를 낮게 제시해 단위가 더 ‘저렴해 보이도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많은 콘도 소유주들이 등록 후 2년 내에 관리비가 10~30% 이상 증가했으며, 5년 안에 10%~50% 이상 증가한 사례도 다수입니다.
→ 대책으로는 개발업체 예산서를 검토하고, 관리비 증가를 감당할 여력이 있는지 스스로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준비금(Reserve Fund) 현황을 확인하라
콘도 건물은 장기적으로 대형 수리·교체가 필요하므로 준비금이 잘 마련돼 있어야 합니다. 보고에 따르면 많은 콘도에서 준비금이 부족했고, 일부는 특별 부담금(special assessment)을 부과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 최근 준비금 조사(study)의 존재 여부, 주요 설비의 수명, 준비금 잔액이 줄어들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서상의 경고 조항을 주의하라
특히 신축 콘도일 경우, 개발업자가 마케팅 자료에 제시한 평(㎡)수, 발코니 크기, 창문 위치, 엘리베이터 수 등 많은 요소들을 계약서상에서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변호사를 통해 계약서를 검토하고, 보장된 면적·사양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콘도 관리회사의 면허를 확인하라
관리회사가 면허가 없거나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경우, 건물 관리가 부실할 위험이 높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백개 관리회사 및 개인이 면허 없이 운영 중이었습니다.
→ 관리회사의 면허 여부를 현지 규제기관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경우 경계해야 합니다.
이사회(Board)의 거버넌스를 이해하라
콘도의 이사회가 제대로 구성돼 있고, 교육을 받고 있는지,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일부 이사회 임원이 여러 건물을 겸임하거나 교육 시간을 부족히 채우는 경우도 보고됐습니다.
→ 회의록을 검토하고, 이사회 멤버들의 경력 및 활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권리와 한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소유주로서 분쟁이 생겼을 때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가 제한적이며, 많은 경우 사적 중재나 법원 소송이 필요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듭니다.
→ 계약서 및 소유권 관련 문서를 잘 보관하고, 결함이나 하자가 발견되면 신속히 조치해야 합니다.
결론
콘도 구입은 큰 재정적 결정이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시스템이 구매자를 충분히 보호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외관이나 ‘좋아 보이는’ 마케팅 자료에만 의존하지 말고, 위 여섯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전문가(특히 콘도법에 능숙한 부동산 변호사)와 함께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토론토 신규 콘도 판매는 53건에 불과했지만 가격은 올랐다 — 그 이유는
https://betterdwelling.com/toronto-only-saw-53-new-condo-sales-but-prices-climbed-heres-why/
판매량 급감
가격은 반대로 상승
왜 이런 모순적 현상이 나왔나
글에서는 이 ‘판매 급감 vs 가격 상승’의 괴리가 단순히 시장이 회복된 신호가 아니라 몇 가지 왜곡된 요소 때문일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의미 및 주의점
요약하자면, 토론토 신축 콘도 시장은 명백히 힘든 구간에 있으며, 가격이 올라 보인다고 해서 자동으로 시장이 건강한 회복세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Real-estate executives welcome interest-rate cut amid economic uncertainty
부동산 경영자들, 경제 불확실성 속 금리 인하 환영
캐나다 중앙은행(Bank of Canada)이 기준금리를 **2.25%**로 인하하자, 부동산업계 경영자들이 이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 시장 모두에서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게 한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예컨대, 상업용 부동산 전문회사에서는 “지금 우리가 필요로 했던 좋은 소식”이라며 투자자들의 대기 심리를 풀어줄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다만, 경제 전반에는 구조적 어려움이 있다는 경고도 함께 나왔습니다. 무역 마찰로 인한 수출 위축, 설비투자 지연, 가계 및 기업의 차입 부담 등이 금리 정책만으로 쉽게 해결되기 힘든 조건으로 평가됩니다.
부동산 시장 관점에서 볼 때, 금리 인하는 매수자에게는 부담 완화 요인이지만, 여전히 고비용 건축자재·인건비 상승, 고정금리 만기 갱신 시점 등의 리스크가 병존하며 시장이 즉각 활성화로 돌아서지는 않을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10 월 업계 하이라이트: 부동산 뉴스 요약
https://realestatemagazine.ca/the-real-deal-industry-highlights-for-october-2025/
Real Estate Magazine(REM)의 “The Real Deal: Industry Highlights for October 2025” 기사에서는 캐나다 부동산업계에서 최근 벌어진 주요 조직 변화와 확장 움직임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Sutton Group이 서부지역에서 활발히 확장 중이며, 캘거리(Calgary)와 켈로나(Kelowna)에 신규 사무소인 Sutton Beeline Calgary 및 Sutton Centre Kelowna를 개설했습니다.
이 확장은 두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는 시장 기회(significant market opportunities for growth)”가 존재한다는 판단에 기반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설명됩니다.
또한 기사에서는 매월 브로커리지(중개법인)의 확장, 합병, 전환(conversions), 그리고 리더십(leadership) 인사 변화 등이 업계 내 주요 이슈로 다뤄지고 있다고 밝힙니다.
이처럼 이번 달 리포트는 단순히 시장 통계에 머무르지 않고, 업계 조직 내 변화와 그로 인한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How the Bank of Canada’s Latest Rate Cut Could Shape the 2026 Housing Market
Bank of Canada의 최신 금리 인하가 2026년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
https://www.zoocasa.com/blog/boc-rate-cut-october-2025/
캐나다 중앙은행이 하루 대출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2.25%**로 낮췄습니다.
이번 연도의 금리 인하 총량은 1.00%포인트로, 올해 들어 네 번째 인하입니다.
주요 은행들의 2026년 전망은 엇갈립니다: 일부는 금리가 2.00%까지 더 떨어질 가능성을 보고 있고, 다른 은행들은 2.25%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봅니다.
주택시장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대가 제시됩니다:
최근 Canadian Real Estate Association(CREA)의 9월 주택판매가 작년 대비 증가했으며, 이는 대기 상태였던 매수심리(buyer confidence)가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주요 대도시(예: Toronto, Vancouver, Calgary)에서 연-기준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 매수자 진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편, 변동금리(variable rate) 주택담보대출을 고려 중인 사람에겐 현재 유리하지만, 금리가 다시 상승할 경우 리스크가 있다는 경고도 제시됩니다. 고정금리(fixed rate) 대출은 안정성을 선호하는 사람에게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입니다.
Latest BoC cut marks good news for Canada’s housing market
최신 Bank of Canada 금리 인하, 캐나다 주택시장에 희소식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2.25%**로 인하했습니다.
이번 인하는 작년 6월 이후 기준금리가 총 175 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s) 내렸다는 의미입니다.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주택보유자(homeowners)와 주택구입을 고려 중인 바이어(buyers)에게 차입 비용을 낮춰주는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합니다.
다만 중앙은행 총재 Tiff Macklem 은 올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마지막일 수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갱신이 다가온 사람들이나 변동금리(variable-rate) 대출을 가진 가구에게는 **안도감(relief)**을 제공하는 반면, 시장 전면 회복을 이끌 만큼 즉각적이거나 완전한 전환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는 신중론도 있습니다.
Here’s Where Luxury Homes Are Still Selling in the Greater Toronto Area
광토론토 지역에서 여전히 판매되는 럭셔리 주택들
Wahi가 발표한 2025년 3분기(7~9월) 토론토 광역(GTA) 럭셔리 주택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기준으로 $300만 이상 주택 매매 건수가 약 15% 감소했으며, 2분기 대비로는 약 17% 줄었다고 합니다.
같은 기간 동안 매매된 럭셔리 주택은 총 321건으로, 전년 동기(376건) 및 직전 분기(388건) 대비 모두 하락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매가 활발한 몇몇 동네가 있고, 이들은 대부분 토론토 시내 중심 또는 고급 주택 밀집 지역입니다. 전체 22개 동네 중 14개가 토론토 시내였고, 대표적으로 Yorkville에서는 9건 매매, 중위가격 약 $6.25 백만에 달했습니다.
또 다른 매매 활성 지역으로는 Lawrence Park, Rosedale, Forest Hill, The Beach, Willowdale, 그리고 Halton 지역의 West Oakville 등이 포함됩니다.
한편 시장 전반에는 냉각기조가 뚜렷하며, 고가 주택 구매자들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