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둘째 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July 8, 2025 by 박구용
부동산/모기지 소식
July 8, 2025 by 박구용
🏡[7월 둘째주 부동산/모기지 소식] "2025년 부동산, 지금은 진입 타이밍? 아니면 잠시 숨 고르기?"
안녕하세요 박셰프입니다.
무더운 여름 속에서도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이슈거리입니다.
오늘은 최근 RBC의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이를 둘러싼 시장 반응을 중심으로,
여러분과 함께 생각해보고 싶은 이야기를 나누려 합니다.
RBC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중위 소득 가구가 주택 소유에 사용하는 비용 비율은 55.1%**로, 작년(60.7%)과 비교해 5.6포인트 개선, 2023년 4분기 정점(63.5%)에 비해서는 8.4포인트 완화되었습니다.
즉, **최근 3년 내 가장 ‘구입 여건이 나아진 시기’**인 셈이죠.
하지만 여기엔 중요한 맥락이 있습니다. 1990년대 주택 버블의 절정기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점입니다.
즉, “개선은 되었지만 여전히 역사적 고점 수준”이라는 뜻이죠.
최근 부동산 관련 기사들을 보면,
“보수적 성향의 매체는 “지금이 진입 타이밍”이라 주장하고,
“진보적 매체는 “매물 급증과 인구 둔화로 추가 하락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2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GTA의 매물 수, 공급 과잉이 심화된 토론토 콘도 시장,
그리고 점점 뚜렷해지는 지역 간 주택가격 격차...
이처럼 각기 다른 지표와 관점들이 혼재된 시기입니다.
누구의 말이 정답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뉴스, 전문가 분석, 통계자료도 중요하지만, 결국 내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나 자신’입니다.
나는 현재 어떤 주거 조건을 필요로 하는가?
향후 5~10년의 계획은 무엇인가?
감당 가능한 모기지 규모는 얼마인가?
이런 질문들을 바탕으로,
“지금의 시장이 내게는 기회인가, 기다림이 필요한 시점인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지혜로운 접근이라고 생각합니다.
덥고 습한 여름, 무엇보다 건강한 한 주 되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캐나다 주택 구매 여건, 3년래 최고지만 여전히 역사적 고점 수준"
RBC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캐나다 주택 구매 부담(affordability)은 최근 3년 내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가구 소득의 55.1%를 주택 소유에 사용해야 해 1990년대 버블 절정 수준과 비슷합니다. 이 개선은 주로 금리 하락과 소득 증가 덕분이지만, 부동산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면서 향후 개선 여지는 제한적입니다. RBC는 금리가 안정되고,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면 2026년부터 주택 구매 여건이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합니다.
“지금이 GTA 주택시장 진입의 기회” – 부동산 전문가 조언
GTA(토론토 광역권)의 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 시장이 진입하기에 좋은 시점이라고 평가합니다. 금리 하락과 함께 매물 수가 증가하고 주택 가격이 안정되면서, 특히 첫 주택 구매자에게 유리한 협상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건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매를 고려 중인 사람들에게 빠른 결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토론토 주택 매물 20년래 최고…콘도는 공급 과잉 심화”
2025년 6월 기준 토론토의 주택 매물은 약 11,700건으로, GTA 전체로는 3만 건을 넘으며 2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콘도는 전체 매물의 60%를 차지하며 특히 공급 과잉이 심화되고 있고, 거래는 줄어들면서 가격도 연간 7% 이상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토론토 부동산 시장이 명확한 '매수자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인구 감소, 캐나다 주택시장에 단기적 부담 우려”
MPA 매거진은 캐나다의 인구 증가율이 정점을 지나 감소할 조짐을 보이며, 특히 이민 감소 정책이 단기적으로 주택 수요와 임대시장에 둔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이로 인해 약 1% 이하 수준으로 인구성장률이 낮아질 경우, 주택 투자 수요 감소와 임대시장 압력 완화가 나타나며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 다만, 이민 정책이 다시 정상화되면 장기적으로 주택수요 회복이 가능하며, 금리 인하가 병행된다면 향후 시장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GTA 주택가치 하락과 콘도 가성비 지역 분석”
GTA 일부 지역, 특히 브록과 캐리든 등에서 저층 주택 가격이 30% 이상 크게 하락했고, 토론토 시내는 상대적으로 덜 하락했습니다. 더럼 지역 오샤와 등에서는 평균 50만 달러 초반대의 저렴한 콘도가 많이 거래되고 있으며, 반면 오크빌과 올드 토론토는 90만 달러 이상으로 가격 차이가 큽니다. 이로 인해 GTA 내 주택 시장은 지역별로 가격 격차가 뚜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캐나다부동산 #GTA주택시장 #토론토부동산 #캐나다집값 #캐나다주택시장 #매수자시장 #첫집구매 #부동산협상전략 #지금이기회 #콘도공급과잉
수년 만에 가장 저렴한 캐나다 부동산, 여전히 90년대 버블 정점에 근접: RBC
RBC 주택구입부담지수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중위 소득 가구가 소유비용(모기지, 재산세, 공과금 등)에 지출하는 비율은 **55.1%**로, 작년 60.7%와 비교해 5.6포인트 하락하며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2023년 4분기의 정점(63.5%)에 비해 8.4포인트 완화된 수치입니다.
하지만 “가장 싸졌다”는 표현은 다소 과장될 수 있는데요. 현재 수준은 1990년대 주택 버블 절정 당시보다 겨우 1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단기적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과거 최고 수준의 부담이라는 의미입니다.
가격 하락 외에도 금리 인하와 소득 증가가 구매 부담 감소에 일부 작용했습니다.
RBC는 올해 내로 부담 비율이 **52%**까지 보합세를 보이다가, 2026년에는 다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
RBC 수석 이코노미스트 Robert Hogue는 향후 금리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면, 주택 가격이나 소득 상승이 없어 한계적이라는 점을 지적합니다.
그는 “향후 2년간 전국 단위로 가격은 대체로 안정, 임금도 다소 완만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기사 마지막에서는 이 상황을 “교정(correction, 조정)”이 아니라 “끝남(end)”으로 정의하며, 근본적 완화는 미미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 상태가 이어지면 ‘청년 세대의 주택 접근 불가’가 고착화되거나, 예상보다 강한 부정적 요소들이 등장할 가능성을 언급합니다 .
부동산 전문가는 지금이 GTA 주택 구매자들에게 '진입하기 좋은 시기'라고 말합니다.
6월 평균 GTA 주택 매매 가격은 **1,101,691달러(CAD)**로, 전년 동월 대비 5.4% 감소했습니다. 복합 기준 가격 지표 역시 5.5% 하락했습니다
TRREB(토론토 지역 부동산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6월 계절 조정 후 매매량은 5월 대비 8% 이상 증가,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매수 심리가 회복 조짐을 보였습니다 .
Heaps Estrin 팀의 대표 Cailey Heaps는 “주택 가격이 내려가 더 저렴해졌고, 전반적으로 매수자에게 유리한 환경”이라며 지금이 주택시장 진입 적기라고 강조했습니다
1분기 동안 계속된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정치적 이슈로 많은 잠재 매수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함에 따라 수요가 줄어 가격이 하락했다고 Heaps는 설명했으며, 안정된 금리 흐름과 미-캐나다 간 무역 합의 기대감이 시장 회복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TRREB 또한 미국과의 무역 협상 및 추가 금리 인하가 진행된다면, 소비자 신뢰 회복과 시장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GTA 활성 목록이 31,600개로 또다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https://storeys.com/toronto-active-listings-june-2025/
활발한 매물 증가: 6월 기준 GTA(광역토론토) 내 active listings는 31,603건으로, 한 달 전(5월)의 30,964건에서 소폭 증가했습니다. 이는 작년 동월(24,169건) 대비 +30.8% 증가한 수치이자, TRREB(토론토 지역 부동산위원회)가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2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신규 매물 동향: 2월부터 꾸준히 증가했던 신규 매물(new listings)은 6월에는 19,839건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작년 대비 +7.7% 많은 수준입니다
매매량 정체: 전체 거래량은 6,243건으로, 5월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년과 비교하면 –2.4% 감소했습니다. 다만 계절 보정 기준으로는 5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가격 하락 추세 지속:
평균 매매가는 $1,101,691로, 작년 같은 달 대비 –5.4%,
복합 기준 벤치마크는 –5.5% 감소했으며, 5월 평균 $1,120,879 대비 약 $19,000 정도 하락했습니다
인구 감소가 캐나다 주택 시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까요?
캐나다 정부는 2025년 이후 연간 이민자 수를 39.5만 명→38만 명(2026)→36.5만 명(2027)으로 순차적 축소를 발표했습니다.
2025년 1분기, BC와 온타리오에서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51년 이후 최대 규모의 인구 감소(분기별 수천 명 규모)가 기록되었습니다
CMHC(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는 이민 축소가 온타리오 및 BC의 주택·임대 수요를 약화시키며, 해당 지역의 매매/임대 활동이 10년 평균 이하로 머물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
그러나 미국의 제한적 이민 정책 변화 등으로 캐나다로 유입되는 이민자가 늘어날 경우, 2026년 말 이후 주택 수요 및 가격이 회복될 가능성도 있다고 CMHC는 언급했습니다 .
무역 전쟁으로 얼어붙은 주택 시장, 그리고 금리 인하 문제(다시)
https://wahi.com/ca/en/learning-centre/real-estate-101/buy/wahi-top-real-estate-stories-119/
미‑중 및 기타 국가들과의 무역 긴장이 캐나다의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주택 수요 위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4.5% 금리를 유지하며 관망 중입니다.
이는 3월 고용이 예상 대비 크게 증가했음에도 금리 동결을 선택한 이유로, 주택 가격 하락세와 인플레이션 둔화가 금리 인상보다 인하를 더 설득력 있게 만들고 있습니다
BoC는 현재 경제 지표(고용·물가·무역 리스크 등)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향후 금리 인하 옵션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
금리 동결에도 “인하 여부”가 논의되고 있으며, 이는 모기지 수요와 시장 심리에 중요한 분기점이 됩니다.